이 대회에 참가하게 된 이유부터 가장 먼저 주제를 선정하게 된 부분은 아래의 글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023.02.26 - [탐구 💾/2022 탐구 이야기] - [22' Science Level Up] 행성 탐사 프로젝트 시작하기 1. 로봇 설계 및 제작 일단, 실패했다. 그 실패의 요인을 먼저 분석하자면 아무래도 시간의 문제라고 생각한다. 우리 팀이 입시생 2명과 2학년 3명으로 이루어진 팀이었는데, 가장 큰 문제점은 모두가 바빠서 이 대회에서 주력으로 활동할 수 있는 사람이 없다는 거였다. 할 수 있는 만큼 최대한 모여서 회의하였지만 대부분 내가 생각한 부분을 컨펌받고 안될 거 같은 부분을 쳐내는 것에 그쳤고, 그 과정에서 우리가 만들고자 한 모습은 다음과 같이 현실적으로... 변경되었다. 이후 ..
2022년도 할만한 대회를 찾아보다가 사이언스 레벨업이라는 행성 탐사 로봇 제작 대회가 열렸다. 한국과학창의재단에서 주관하는 대회로, 다음 링크에 자세한 내용이 있다. KOFAC 온라인 접수 시스템:: KOFAC 온라인 접수 시스템:: 협업과 소통을 중심으로 최신 과학기술 이슈를 해결하는 프로젝트 수행을 통해 청소년들의 다양한 과학적 감성 체험 및 활동을 제공하고 청소년들의 과학적 탐구 소양 함양과 미래의 과학하는 survey.kofac.re.kr 1. 과제 대회의 과제는 다음과 같다. [과제] - 미래 우주시대를 대비하여 태양계 행성별 환경을 고려한 ‘행성탐사로봇’ 설계 및 구현 [제작요건] • 태양계 행성* 중 1개를 선택하여, 해당 행성의 위성 환경까지 고려한 산출물을 구상‧설계‧제작해야한다. * ..
(1)의 내용을 보고 싶다면 밑의 글을 보시면 됩니다. 2023.02.24 - [탐구 💾/2022 탐구 이야기] - [22' YSC] 택배 배달 프로젝트(1) 이후 컨설팅을 듣고 나서 팀의 목표를 엘리베이터에 로봇이 탔다는 가정하에 엘리베이터를 어떻게 조정하면 좋을지에 대한 고민을 시작했다. 다음과 같은 종류의 방법들을 생각해 보았다. - 로봇 팔을 조정 하여 엘리베이터 버튼을 누른다. - 로봇팔이 아닌 적당한 누를 수 있는 막대기로 구성한다. - 엘리베이터에 센서를 부착해서 자동으로 누를 수 있도록 한다. 와 같은 방법들을 생각해 봤는데, 아무래도 센서 부착이나 로봇팔 자체를 진행하는 것은 시간적으로나 안전 부분이 문제가 될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따라서 일단 로직을 다음과 같이 구성하였다. 1. x, ..